극상근의 기능 및 작용
제6장 극 상 근 ( supraspinatus )
1. 기초 해부학
- 기 시 부 : 견갑골의 극상와 ( supraspinatus fossa of the scapula )
- 정 지 부 : 상완골의 대결절 상부 ( upper part of greater tubercle of the humerus )
- 신경지배 : 견갑상신경 ( suprascapular nerve. C5, 6 )
( 극상근 의 해부학 )
2. 기능 및 작용
- 어깨의 외전 운동 abduction
- 상완 골두를 견관절와 안쪽으로 잡아당기는 역할 ( 외전시 하방으로의 전위를 방지하는 역할 )
- 전기적인 자극을 주면 외전, 경도의 굴곡운동, 경도의 내회전 야기
- 보행시 팔을 앞 뒤로 흔들때 작동하는데 상완골두가 견관절의 아래로 아탈구되는 것을 방지한다.
3. 증 상
- 어깨 주위에 심부통이 나타나며 어깨의 운동제한이 나타날수 있다.
- 안정시에도 둔통을 느끼고 특히 팔을 외전할때 방사통을 심하게 느낀다.
- 어깨 주변에 사그락거리는 소리나 탄발음이 들리는 경우가 있다.
- 방사통은 깊숙한 통증이 중삼각근 부위에 집중되고 이러한 방사통이 팔을 타고 내려가 전완부까지 내려 가는 경우가 있다.
- 만성적으로 긴장되어 있는 경우는 극상건에 석회침착이 올 수도 있다.
4. 압통점 활성화 요인 및 환자의 특징
- 무거운 물건을 들고 옮길때
- 개를 끈에 묶어 정기적으로 끌고 다닐때
- 어깨 높이에서 혹은 어깨 높이로 팔을 뻗은 상태에서 물건을 옮길때
- 바로 선 자세에서 팔의 무거 때문에 팔을 외전 시킬수 없지만 누운 자세에서는 외전이 큰 어려움 없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.
( 극상근의 근력검사 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