임상근육학

비복근 ( gastrocnemius ), 종아리 통증, 발목 통증, 종아리 경련 증상

폭스짐 휘트니스 2015. 4. 1. 16:42

 

 

비 복 근 ( gastrocnemius )

1. 기초 해부학

 

    기시부 : 대퇴골의 내외과와 그 슬관절낭

 

    정지부 : 아킬레스건으로 가는 공통건

 

    신경지배 : 경골 신경 ( tibial nerve )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 비복근 의  해부학 )

 

2. 기능 및 작용

 

    - 원심성 수축에 의하여 서있거나 보행 시 하퇴를 뒤로 잡아당기는 역할

 

    - 균형이 흐트러지지 않은 직립자세에서는 비복근은 활성화되지 않거나 최소한의 활성도만 유지.

 

    - 신체를 앞으로 숙이면 숙일 수록 비복근 활성도가 증가한다.

 

    - 가파른 경사를 위로 올라가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, 혹은  점프나 자전거를 탈때 족저근을 위한 예비자세로서의 기능을 가

      지고 있다

 

3. 근육의 기능 검사

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 비복근의 근력검사 )

   

     - 환자는 복와위로 누워 무릎을 신전시키고 발은 테이블 끝으로 뻗는다.

 

    - 환자는 발을 족저굴시켜 발끝을 아래로 밀기보다는 발뒤꿈치를 잡아 당기는 중점을 둔다.

 

    - 의사는 종골과 발끝을 잡고 족배굴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주고 환자는 이에 저항한다.

 

 

 

4. 증   상

 

 

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

 

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( 비복근의 압통점 및 방사통 ) 

 

 

    - 약간의 장딴지 경련 및 간헐적인 파행을 보일 수 있다.

 

   - 내측두에 잠복성압통점이 있는 경우는 장딴지 경련만 주증상이다가 활동성으로 변하면 장딴지의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.

 

   - 경사진 길을 올라갈때나 바위를 탈때, 경사진 길을 걸을때 무릎의 후면부에 통증을 호소할수도 있다.

 

   - 제 1 압통점의 방사통 : 발의 같은쪽 instep , 하부후하퇴부, 무릎의 후면부, 발목의 후내측에 존재

 

    - 제 2 압통점과 제 3 압통점, 제 4 압통점의 방사통 : 압통점 주변에 위치

 

 

5. 압통점 활성화 및 만성화 요인

 

    - 가파른 경사길을 올라가거나 암벽을 타는 경우

 

    - 언덕길 위로 조깅, 안장을 너무 낮게 조정된 자전거를 타는 경우

 

    - 발목이나 다리의 골절로 보행캐스트를 하는 경우, 장시간 앞으로 숙인 자세로 서 있는 경우

 

    - 굽이 높은 신발을 신는 경우

 

    - 가속패달이  너무 수평으로 조정된 차를 장시간 운전하는 경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