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 복 근 ( gastrocnemius )
1. 기초 해부학
기시부 : 대퇴골의 내외과와 그 슬관절낭
정지부 : 아킬레스건으로 가는 공통건
신경지배 : 경골 신경 ( tibial nerve )
( 비복근 의 해부학 )
2. 기능 및 작용
- 원심성 수축에 의하여 서있거나 보행 시 하퇴를 뒤로 잡아당기는 역할
- 균형이 흐트러지지 않은 직립자세에서는 비복근은 활성화되지 않거나 최소한의 활성도만 유지.
- 신체를 앞으로 숙이면 숙일 수록 비복근 활성도가 증가한다.
- 가파른 경사를 위로 올라가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, 혹은 점프나 자전거를 탈때 족저근을 위한 예비자세로서의 기능을 가
지고 있다
3. 근육의 기능 검사
( 비복근의 근력검사 )
- 환자는 복와위로 누워 무릎을 신전시키고 발은 테이블 끝으로 뻗는다.
- 환자는 발을 족저굴시켜 발끝을 아래로 밀기보다는 발뒤꿈치를 잡아 당기는 중점을 둔다.
- 의사는 종골과 발끝을 잡고 족배굴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주고 환자는 이에 저항한다.
4. 증 상
( 비복근의 압통점 및 방사통 )
- 약간의 장딴지 경련 및 간헐적인 파행을 보일 수 있다.
- 내측두에 잠복성압통점이 있는 경우는 장딴지 경련만 주증상이다가 활동성으로 변하면 장딴지의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.
- 경사진 길을 올라갈때나 바위를 탈때, 경사진 길을 걸을때 무릎의 후면부에 통증을 호소할수도 있다.
- 제 1 압통점의 방사통 : 발의 같은쪽 instep , 하부후하퇴부, 무릎의 후면부, 발목의 후내측에 존재
- 제 2 압통점과 제 3 압통점, 제 4 압통점의 방사통 : 압통점 주변에 위치
5. 압통점 활성화 및 만성화 요인
- 가파른 경사길을 올라가거나 암벽을 타는 경우
- 언덕길 위로 조깅, 안장을 너무 낮게 조정된 자전거를 타는 경우
- 발목이나 다리의 골절로 보행캐스트를 하는 경우, 장시간 앞으로 숙인 자세로 서 있는 경우
- 굽이 높은 신발을 신는 경우
- 가속패달이 너무 수평으로 조정된 차를 장시간 운전하는 경우
'임상근육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견갑거근 ( levator scapulae )기능 및 작용, 목의 통증,목을 움직이기 힘들때, 고흥 스포츠 마사지 (0) | 2015.11.27 |
---|---|
삼각근 (deltoid)기능 및 작용, 어깨통증, (0) | 2015.10.21 |
복근 (abdominal muscles )의 기능 및 작용, 복직근 운동, 내복사근 및 외복사근 ,복부통증 (0) | 2015.01.09 |
대퇴내전근 ( adductor muscle of the hip ) 기능 및 작용, 허리통증,서혜부 통증,무릎통증, (0) | 2014.01.08 |
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기능 및 작용, 목의 통증, 거북목, (0) | 2013.11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