임상근육학

견갑거근 ( levator scapulae )기능 및 작용, 목의 통증,목을 움직이기 힘들때, 고흥 스포츠 마사지

폭스짐 휘트니스 2015. 11. 27. 19:04

 

견갑거근 ( levator scapulae )

 

 1. 기초 해부학

 

    기시부 : 제1경추에서 4번 경추의 횡돌기의 후결절

 

    정지부 : 견갑골의 상각 과 견갑극 의 내측연

 

    신경지배 : 후견갑신경 dorsal scapular nerve. C3,4,5

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 견갑거근 의 해부학 )

 2. 기능 및 작용

 

   - 목을 고정하고 수축하면 견갑골이 회전하여 견관절와 가 아애로 향하게 되고 전체적으로 견갑골이 올라가게 된다.

 

 3. 근육의 기능 검사

 

   - 피술자는 좌위로 팔꿈치를 굽히고 어깨를 최대한 테이블 쪽으로 내려 팔꿈치가 테이블 높이 정도까지 내린다.

 

   - 상완골을 내전시키고 약간 신전시킨상태로 유지한다.

 

   - 술자는 내측 팔꿈치를 접촉하고 외전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주고 피술자는 저항하게 한다.

 

   - 이때 견갑골의 상각이 내하방으로 ( 하각이 외상방으로 ) 회전하는지 어떤지 관찰 한다.

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 ( 견갑거근의 근력 검사 )

  4. 증  상

 

   - 경부강직의 중요한 원인근 .

 

   - 목과 어깨죽지가 만나는 각진 곳의 압통점은 견갑골의 내측연 과 어깨의 뒷면을 따라 방사통이 방사된다.

 

   - 하부의 압통점은 견갑골의 하각을 향해 방사될수 있다.

 

   - 통증은 처음에는 목을 돌릴 때만 야기되지만 점점 진행되면 안정 시에도 통증이 계속 된다.

  

   - 환자는 목을 단단히 고정하여 옆으로 볼 때도 목을 돌리지 않고 눈을 돌려서 보는 경향이 있다.

 

   - 상부승모근이 침범되어 있으면 목을 움직여 스트렛칭을 하려고 하는 경향을 보이나 견갑거근은 그렇지 않고 도리어 움직이지 않으려 한다.

 

   - 통증이 있는 쪽으로 목의 회전운동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다.

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( 견갑거근 의 압통점 및 방사통 )

 5. 압통점 활성화 요인

 

   - 잘못된 자세와 직업적인 스트레스.

 

   - 견갑거근이 짧아질수 있는 자세의 목 위치로 수면하는 경우

 

   - 심리적인 스트레스.

 

   - 어깨가 올라간 자세로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

 

   - 테니스나 수영 등 운동을 심하게 할때.

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 견갑거근의 압통점 )

 

 6. 견갑거근의 self - stretch

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 견갑거근 self - stretch 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