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각근 ( Scalene mm( the entrappers))
기초 해부학
1. 전 사각근 ( scalenus anterior )
기시부 : 제3번 경추에서 6번 경추까지의 횡돌기의 전결절.
정지부 : 제1번 늑골의 내측연에 있는 사각근결절.
2. 중 사각근 ( scalenus medius )
기시부 : 제2번 경추에서 7번 경추까지의 횡돌기의 전결절.
정지부 : 제1번 늑골의 두측면.
3. 후 사각근 (scalenus posterior )
기시부 : 하부경추 2~3개의 횡돌기의 후결절.
정지부 : 제2 늑골의 외측면.
4. 최소 사각근 ( scalenus minimus )
기시부 : 제7번 경추의 횡돌기 전결절.
정지부 : 제1번 늑골의 내측연.
( 사각근의 해부학 )
근육 및 작용
- 정지부를 고정하고 한쪽만 수축하면 경추의 측굴운동, 실제로는 경사지게 전굴과 측굴운동을 하고 양쪽을 수축하면 경추의 전굴운동을 하게 된다.
- 후 사각근 : 목의 기저부를 고정시켜 측굴운동이 안정 되도록 한다.
- 기시부를 고정하면 흉쇄유돌근과 더불어 흡기운동을 보조.
( 사각근의 압통점 )
증 상
- 어깨와 상지의 통증의 원인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표재성 통증이다.
- 방사통의 경로가 비슷한 극하근 의 경우는 심부통이다.
- 앞 쪽으로는 가슴으로, 옆으로는 상지 쪽 , 뒷 쪽으로는 견갑골 내측연과 부근의 견갑골 사이로 방사통이 확산된다.
- 중 사각근 의 하부와 후 사각근 : 전흉부로 손가락 모양으로 뻗어 내려가 유두 부근까지 방사된다.
- 전 사각근의 상부와 중 사각근 : 상완이두근과 상완삼두근 위를 지나 상지의 앞뒤로 방사하여 엄지와 시지로 방사, 단 주관절 부위는 방사되지 않는다.
- 전 사각근 : 뒷쪽으로 견갑골 내측연의 상 1/2와 견갑골 주변으로 방사한다.
- 초소 사각근 : 삼각근의 정지부에서 시작하여 상지의 측면으로 내려가 팔꿈치는 뛰어넘어 다섯손가락 배면부로 내려간다.
- 통증이 심해서 잠을 설칠 정도이다.
- 저린감 혹은 찌릿찌릿한 신경학적인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.
- 자기도 모르게 잡고 있던 물건을 놓치기도 하다.
( 상완신경총 과 주변의 혈관신경총 )
신경혈관압박 증후군
- 근막성 혈관 탈출 증후군 , 상완신경총 과 쇄골하동맥이 전사각근 과 중사각근 사이의 흉곽탈출구로 나오게 된다.
- 전사각근 압통점 때문에 긴장되어 짧아지면 쇄골하동맥보다 쇄골하정맥을 주로 압박하게 되며, 상환신경총에 압박을 가하게 된다.
- 중사각근에 압통점이 생겨 긴장되면 주로 상완신경총에 압박을 주게된다.
- 신경 압박 : 주로 척골측에 신경학적인 증후와 증상을 나타낸다. 손의 4,5 지 그리고 척골측의 손과 경우에 따라서는 전완의 척골측에 저린감을 주로 느끼
고 경우에 따라서는 경도의 감각저하가 올수 있다.
- 정맥 혹은 임파선 페색 : 손과 손가락 배측부에 부종을 야기하여 아침에 증상이 심하고 시간이 지나면 부종이 감소하게 된다.
- 동맥 압박 : 액와 동맥의 압박은 사각근의 압통점보다 소흉근의 압통점에 의해서 유발될 가능성이 높다.
사각근의 self - stretch
( 사각근 스트레칭 )
'임상근육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@요방형근 기능 및 작용@, 요통을 일으키는 원인, (0) | 2013.04.29 |
---|---|
@ 대둔근 (gluteus maximus )의 기능 및 증상@, 대둔근 운동 (0) | 2013.04.23 |
햄스트링 ( hamstrings ) 기능 및 작용 , 햄스트링 부상 (0) | 2013.04.17 |
장요근의 기능 및 작용 ( iliopsoas ) (0) | 2013.04.08 |
극상근의 기능 및 작용 (0) | 2013.03.25 |